서부 잉글랜드 시장 팀 바울은 2017년 5월 4일 서부 잉글랜드의 첫 시장으로 선출되었다. 이후 그는 서부 영국의 공공서비스 부문을 국제 비즈니스와 다수 연결해 왔다.
그는 사업개발, 수출, 영업, 그리고 마케팅 분야에서 국제적인 이력을 쌓아왔다. 그는 중소기업뿐만아니라 글로벌 기업들과 협력하며, 모든 기업들이 기업 규모에 상관없이 최대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왔다.
시장으로 선출되기 전에는, 남부 글로스터셔 국회 리더십팀의 일원이었고, 정책과 자원 분야에 초점을 두며 각종 기관들과 협력해왔다. 윈터번 지방자치 자문 위원회에서 지방의회 의원이자 위원회장으로 다년간 활동하였다. 그는 또한 지역 내에 2번째 규모의 학교에서 12년간 운영이사로 활동하였다.
크리스토프 뤼트
독일인공지능연구소(DFKI) 부소장
크리스토프 뤼트 박사는 브레멘에 위치한 독일인공지능연구센터의 부연구소장을 맡고 있으며, 브레멘대학의 컴퓨터과학 분야의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는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브레멘 대학교에서 교수 자격인 하빌리타치온을 받았다. 또한 80개가 넘는 동료심사 논문을 저술 혹은 공동저술 하였으며 포멀 메소드 분야에서 몇몇 연구 프로젝트의 리드 연구원 이었다.
그의 연구는 이론적 기초에서부터 시스템을 구성하거나 검증하는 도구 개발, 로봇 공학과 같은 실용적인 분야에서의 응용에 이르기까지 고품질의 시스템 개발의 전 영역을 다루고 있다.
유웅환
SK텔레콤 SV이노베이션센터 센터장
유웅환 박사는 현재 SK텔레콤 SV이노베이션센터 센터장으로 근무중이며 동시에 P4G(Partnering for Green Growth and the Global Goals 2030) 이사회멤버로서 활동 중이다. 최근까지 카이스트 창업원에서 연구 정교수로 근무하였다. 2016년에는 문재인 후보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일자리위원회 본부장과 새로운대한민국위원회 4차산업분과 공동위원장으로 활동했다.
2001년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고, 싱가포르 국영 연구소에서 객원 연구원으로 재직했으며, 인텔에서 CPU 하드웨어 플랫폼 설계 엔지니어로 10년간 일했다. 2011년에는 한국으로 돌아와 삼성전자에서 모바일 반도체시스템 개발에 참여했고, 반도체사업부 상무를 역임했으며 현대자동차 연구소로 옮겨 시스템 반도체 칩과 플랫폼 설계 및 미래형 자동차 연구에 힘을 쏟았다. 디자인콘(DesignCon)에서 두 차례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하였으며, 미국 전기전자공학회(IEEE) 시니어 회원으로, 2013부터 4년 연속 전기전자공학회 펠로우로 추천받기도 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Power Integrity for I/O Interfaces With Signal Integrity/ Power Integrity Co-Design’(Prentice Hall 2010), ‘사람은 사람의 꿈에 반한다’(2015), ‘사람을 위한 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을 생각하다’(2017.6 출간) 등이 있다.
- 계산생물학(Computational Biology) 학장 2017~현재, 캠브릿지 대학교 밀너 연구소
- Visiting Bioinformatics Lead to Centre for Therapeutics Discovery 2017~현재, LifeArc(前 MRC 테크널러지)
- 과학방문연구원 Open Targets Initiative 2017~현재, European Bioinformatics Institute (EMBL-EBI)
- 연구 프로그램 코디네이터 2016~2017, 캠브릿지 대학 밀너연구소
- Computational Cancer Epigenomics 연구교수 2013 ~2016, 캠브릿지 대학
- Computational Cancer Genomics 박사 후 연구원 2010~2013, 맨체스터 대학
- 계산생물학&머신러닝 박사연구 2007~2010, 맨체스터 대학
김갑성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스마트시티특별위원회 위원장
- 현 연세대학교 교수
- 현 연세대학교 기획실장
- 전 삼성경제연구소 연구원
- 미 펜실베니아대학교 지역경제학 박사
김동섭
유니스트 4차산업혁신 연구소장
- UNIST 경영공학부장 겸 4차산업혁신 연구소장 겸 산학 융합 캠퍼스 단장 (2016-현재)
- SK Innovation 기술원장, 기술총괄 부사장 및 CTO (2009- 2015)
- Shell Global Solutions 기술 본부장 (1990 – 2009)
-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학사(1979), 석사 (1981) 및 오하이오 주립대학 박사 (1989)
-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자문 위원, AI 제조혁신 전략위 서비스 분과위원장
- 대한민국 산업 포장 수상 (2007)
- 세계경제포럼 제조혁신 전문위원 및 등대공장 심사위원
이광일
한국해양대학교 교수
- 2017 ~ 현재 : 한국해양대학교 제어자동화공학부 교수
- 2006~2017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표준전문위원
- 2000~2002 : NIST 연구원
- 2015~ 현재 : IEC TC80 WG17 컨비너
- 한국자율운항선박포럼(KAUS, 국제자율운항선박 협의체(INAS) 한국회원) 의장
- 2019 2019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IEC 1906 Award” 수상
- 2018, 2014 : 스마트 자율운항선박의 국제표준화에 기여한 공로에 대한 세계표준의날 산업부 장관표창
트론 호브랜드
ITS노르웨이 CEO
- 노르웨이 베르겐 대학교 무기화학 석사, 1986
- 팀 아쿠아 총괄, 1986 - 1991
- ICT 부문대표 및 자문, 바마 베스트, 1986 - 1991
- 노르웨이 공공도로 관리 및 총괄, 1991 – 1998
- 지리 데이터 총감독 및 국가적 ICT/ITS 시스템 개발 및 구축 프로그램 매니저, 1999 – 2009
- ITS 노르웨이 최고경영자, 2009 – 현재
카르노 테노부오
어웨이크AI CEO 겸 공동창업자
- 2018–현재 어웨이크.에이아이 최고경영자 겸 공동창업자
- 2015–2018 롤스로이스 마린 SVP 쉽 인텔리전스
- 2011–2015 롤스로이스 마린 경영전략 대표
- 2010–2011 프로그레스 파트너 앙트러프러너, 창업자
- 2008–2011 STX 핀란드 사업개발 매니저
- 2004–2008 에이커 야드 R&D 및 클래시피케이션 엔지니어
- Dimecc Oy 이사회 회장
• 2018 트러스티드 투 딜리버 엑설런스 위너
• 2018 헨리 로이스 어워드 위너
• 2017 핀란드 기술분야 기술 어워드
빈센트 캄펜스
로테르담항만청 디지털 전략 매니저
빈센트 캄펜스는 2015년 로테르담 항만청 디지털팀에 합류해 항만지역의 운영 IT에 주력했다. 그는 기업이 지속 가능한 솔루션을 성장시키고 개발할 수 있도록 비즈니스, IT 및 기술 판매 기술을 결합한 입증된 실적을 가지고 있다.
애플리케이션 성능 관리를 위한 네덜란드 회사 Ymor에서 그는 최고의 유저 경험을 달성하며 100개의 기업 몇몇을 지원했다. 지난 몇 년 동안 그는 로테르담 항구의 효율성, 안전, 지속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마트 기술의 사용을 추진했다. br>그는 열정적으로 조직 안팎에서 미래지향적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데에 힘썼다. 그 결과 포트 지역은 모든 이해 관계자들이 동적 센서 데이터를 수집, 처리 및 배포하기 위한 완전히 새로운 생태계가 되었다. 그는 사물인터넷, 디지털 트윈, 항만 디지털화에 다양한 출판물을 가지고 있다. 디지털 전략 매니저로서 그는 새로운 아이디어와 이니셔티브를 중시하여 항만청의 장기적인 목표에 부합하도록 한다.아키텍드, 디지털 전략가 팀과 함께 그는 미래의 데이터 주도 사업에 방향을 제시한다.
이수영
카이스트 명예교수
- 한국과학기술원 조교수/부교수/교수(1986-2018)
-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지능연구소 소장(2017-2020)
- 뉴욕공과대학 전자물리 박사(1984)
- 국제신경망학회 석학회원(2017-), 이사(2012-2014), 회장상(2011)
- 아시아-태평양 신경망학회/연합회 회장(2017), 연구업적상(2009)
- 한국 플래그쉽 인공지능 감성 디지털 동반자 과제 책임자(2016-2020)
- 한국 뇌과학/뇌공학 연구사업단장(1998-2008)
이명호
아트라스콥코 코리아 부사장
- 한국 하니웰㈜ 에너지/서비스 사업본부장
- 한국 하니웰㈜ 마케팅 팀장
- 아주대학교, 경영정보학 박사
- 고려대학교, 경영학(경영과학/MIS) 석사
- 한양대학교, 산업공학 전공
- Project Management Professional
- Six Sigma Black Belt
김영학
서울아산병원 헬스이노베이션빅데이터센터 소장
- 2001-2005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의학박사
- 2014-현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교수
- 2017-현재 서울아산병원 헬스이노베이션빅데이터센터 소장
- 2018-현재 서울아산병원 정보의학과 과장
- 2019-현재 재단법인 한국보건의료정보원 이사
[수상] 미래 혁신 지도자상, 2019 아시아태평양보건의료정보관리시스템학회
[출판경력] Future 50 Innovation Leader, 2019 Healthcare Information and Management Systems Society Asia Pacific
마이크 킴
오비탈 인사이트 아태지역 총괄대표
마이크킴은 현재 APAC 지역의 세일즈 디렉터이자 일본지역 전무를 담당하고 있다. 아태지역 비즈니스를 이끄는 동시에 일본 오피스와 팀의 성장 두 가지 직책을 맡고 있다. 그는 세일즈, 사업 개발, 파트너쉽, 그리고 두 지역 고객의 문제 해결 및 관리를 담당한다. 그는 딜로이트 컨설팅에서 재직 당시 빅데이터 프로젝트를 감독했고, 인신매매나 인권보호와 같은 사회적 이슈에 기술분석을 활용하는 그룹을 조직 해 이끌기도 했다. 이후 페라지 그린라이트에서 전무로 합류했으며, 포춘 500개 기업에 경영자문을 도왔다. 페라지 그린라이트 이후에는 다이얼패드(구글 벤처 및 안데리센 호로위츠 투자)에 합류하였고 엔터프라이즈 세일즈팀 창립멤버이다. 마이크킴은 작가로도 활동하며 그의 저서는 다양한 언론에서 다뤄지기도 했다. 또한 대학, 기업, 기관 등에서 전세계적으로 연설을 해오고 있다.
김진형
중앙대학교 석좌교수
- 카이스트 명예교수
- UCLA 대학원 전산학 박사
- 공공데이터전략위원회 위원장
-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장
- 과학기술정보연구원 원장
- 한국정보과학회 명예회장
- 동탑산업훈장, 인터넷 대상 수상
안드레아스 클리브
코르티 CEO 겸 공동창업자
- 코르티 최고경영자 겸 공동창업자
- 노르딕 AI 회장 겸 공동창업자
- 코펜하겐 비즈니스 스쿨 리더십, 조직 전략과 경영학 석사
- 오비보 공동창업자-헬스케어 조직에 대화형 인터페이스 구축하는 서비스, 추후 SD A/S에 매각
- 밋업 그룹 ‘코펜하겐 AI’ 창업자
킴 노만 앤더슨
코펜하겐 비즈니스스쿨 교수
- 덴마크 코펜하겐 비즈니스 스쿨 교수
- 사우스이스턴 노르웨이 대학교 교수
- 호주 디킨 대학교 방문 연구원
- 스웨덴 외레브로 대학교 방문 연구원
-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어바인 캠퍼스 방문 연구원
- 일본 도쿄 대학교 방문 연구원
- IFIP 실버 코어 어워드
제이슨 마이어스
엔젠(Ngen)캐나다 CEO
제이슨 마이어스는 산업 기술적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수상 경력이 있는 특화 된 경제학 해설자이며 캐나다에서 널리 알려진 영향력 있는 정책 옹호자이다. 그는 25년 이상 산업, 학계, 연구소 사이 연합을 맺어왔고, 나아가 시민단체나 노동단체와도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해오고 있다. 2007년에서 2016년까지 캐나다 제조&수출업자 단체에서 대표회장 및 최고경영자를 역임하였다. 캐나다 제조&수출업자 단체는 캐나다의 가장 큰 제조 및 무역 협회이다. 또한 그는 캐나다 제조 연합의 창립 회장, 캐나다 국립 라운드테이블의 부회장, 그리고 온타리오와 그레이트 레이크 제조 위원회의 부회장을 역임하였다 한편 제이슨 마이어스는 캐나다 퀸즈대학과 브리티시 콜롬비아 대학을 다녔으며, 런던 경제 학교와 옥스퍼드 대학에서도 학위를 받았다.
줄리앙 빌럿
스케일AI CEO
줄리앙 빌럿은 캐나다의 인공지능 슈퍼클러스터인 스케일 아이(Scale Ai)의 CEO로, 차세대 공급망 구축과 AI를 활용해 산업 성과를 높이는 데 전념하고 있다. 그는 또한 몬트리올의 기술과 비즈니스 생태계를 활용한 인공지능(ArtificialIntelligence)분야 스타트업을 런칭하고 성장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두 프로그램의 총괄이자 HEC 몬트레올의 부교수이기도 하다. 이 프로그램은 NextAI 와 CreativeDestructionLab (CDL)이다.
그는 또한 다양한 회사와 비영리 단체의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마케팅, 미디어 및 모바일 산업에서 광범위한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디지털 비즈니스로의 트랜스포메이션을 성공적으로 집행한 이력이 있다.
최근까지 줄리앙 빌럿은 몬트리올에 있는 Yellow Pages Group Corporation의 사장 겸 최고 경영자였습니다. 이전에는 프랑스에서 공개적으로 거래되던 현직 지역 검색 사업인 소로칼 그룹(구 페이지자운즈 그룹)의 부사장, 미디어 책임자이자 상무, 이사회원이었다. 그 이전의 경험으로는 라가르데르 그룹의 멀티미디어 지부인 라가르데르 액티브의 디지털 및 신사업 부문의 CEO, 그리고 프랑스 텔레콤의 고위 경영진에서 13년 동안 근무한 것이 있는데, 이 회사의 모바일 자회사인 오렌지의 마케팅 책임자로 활동하며 성과를 내었다.
수 파이시
캐나다 디지털 테크널러지 수퍼클러스터 CEO
수 파이시는 캐나다 디지털 테크널러지 수퍼클러스터의 CEO이다. 캐나다 디지털 테크널러지 수퍼클러스터는 캐나다의 디지털 기술을 통해 사회와 산업이 직면한 가장 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관들이 모인 것이다.
캐나다 수퍼클러스터에 합류하기 전에 수 파이시는 캐나다의 주요 조직들을 이끌었다. 캐나다의 대표적인 법률회사 중 하나인 파스켄의 경영 파트너(2000년 – 2006년), 캐나다 최대의 진단 연구소인 라이프랩의 CEO (2012-2017년) 이러한 역할들 각각에서 그녀는 다양한 팀을 동원하여 비즈니스 성장을 촉진하고 대규모 조직 변화를 실행하며 변혁 기술을 개발하고 구현했다.
Sue는 또한 명예의 전당, 비즈니스 평생 공로상 등 지역사회와 비즈니스 리더십으로 인정받은 바 있다. 대표적으로 캐나다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대 여성에 꼽히기도 했다.
유까 레메스
Silo.AI 리드AI 솔루션 아키텍트
유까 레메스는 20년 이상 머신 러닝과 데이터 분석 솔루션을 개발하며, 어드밴스드 애널리틱스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특히 헬스케어와 메디컬 테크분야에서 전문성을 갖고 있다. 실로 AI에 리드 AI 솔루션 아키텍트로 합류하기 전에는 오울루 대학 병원의 임상연구팀에서 근무하였다. 또한 넥스티즘의 메디컬 상품 연구개발팀, 노키아 테크널러지의 헬스 연구개발팀, 그리고 IBM 왓슨 헬스 상품과 생태계를 위한 사업 개발 부사장으로 재직하였다. 그는 또한 머신러닝, AI 그리고 다른 기술분야와 헬스케어 분야에서 기조연설 및 강의를 진행해온 숙련된 연설가이자 강사이다.
- Silo.AI 리드AI 솔루션 아키텍트
- IBM 클라우드 아키텍트, 사업 개발 부사장, IBM 아카데믹 앰배서더
- 노키아 테크널러지 머신러닝 선임연구원
- 오울루 대학 학사 및 박사 취득
노경훈
아마존웹서비스코리아 금융고객팀 총괄
- 아마존웹서비스 코리아 금융고객팀 총괄-2020년
- 피보탈 코리아 지사장-2017년
- 아마존웹서비스 코리아 초기 영업담당-2013년
- 한국마이크로소프트 대학고객 담당-2010년
- 한국마이크로소프트 병원고객 담당-2008년
서승우
서울대학교 지능형자동차IT연구센터장
- 서울대학교 전기정보 공학부 교수
- 서울대학교 지능형자동차IT연구센터 센터장
- 미국 스텐포드대학교 방문교수
- <보안경제학>(2008, 서울대학교 출판부)Security in Next Generation Mobiel Networks: SAE/LTE and WiMAX>(2011, River Publishers), <아침 설렘으로 집을 나서라>(2013, 이지북), <축적의 시간>(공저, 2015, 지식노마드), <공학자의 시간여행>(2019, ㈜특별한 서재)
프레드릭 하인츠
발렌베리AI연구소 이사
- 스웨덴 린셰핑 대학교 컴퓨터과학 부교수
- 발렌베리 대학원 AI 연구소장
- 스웨디시 AI 소사이어티 회장
- 스웨덴 로얄 아카데미 기초공학 펠로우
- AI 리서치 전문센터 TAILOR ICT-48 network 코디네이터
- AI 상급 전문가 그룹 유럽 위원회원
- 지속가능한 AI 센터 연구원
안데르스 헥토르
주한스웨덴대사관 과학혁신참사관
안데르스 헥토르는 2019년 4월 주한스웨덴대사관 과학혁신참사관으로 부임하였다. 이전에 그는 스웨덴 기업혁신부에서 근무하며 주로 디지털 경제 정책과 관련된 업무를 맡아왔다. 그는 EU, OECD, 이외 다른 국제 기관들과도 긴밀하게 협력하며 표준화, 그로스 분석, 디지털 인클루전, 사회적 복지, 인터넷 거버넌스 분야에서 활동 해왔다. 안데르스는 또한 기술과 사회적 변화 분야에 박사 학위를 갖고 있으며 연구원으로도 활동 한 이력이 있다.
- 2019- 주한스웨덴대사관 과학혁신참사관
- 2007-19 디지털 개발부서 부총괄, 스웨덴 기업혁신부
- 2006-07 사무관, ICT 표준화에 대한 정부 집행기관
- 2005-06 과학기술담당관, 주일스웨덴대사관
- 2002-05 스웨덴 IT 유저센터 총괄, 웁살라 대학교
- 2018-19 OECD 디지털 경제 정책 커미티 대표
- 2017-19 OECD Going Digital 운영그룹 대표
김인복
엔백(Envac) 이사
- 1995, 청주대학교 이공계 졸업, 학사
- 2007, 엔벡 주식회사 입사 ~ 현재 근무 중
- 2012, Asia Pacific Region Head office 기술이사
- 2014, 파주시장 표창장(환경분야)
- 대만, 일본, 호주, 한국 지역에서의 기술, 설계 총괄 부서장(이사)
유성현
한국데이터중심의료사업단 사업본부장
- 사업본부장, 한국 데이터중심 의료 사업단
- Senior Marketing Specialist, 메드트로닉 코리아 심장혈관사업부 전략마케팅
- 메드트로닉 코리아 영업부
- 얀센 코리아 영업부
- MBA, SKK GSB
장 프랑스와 가네
엘리먼트AI CEO
장 프랑스와 가네는 엘리먼트 AI의 공동창업자 겸 CEO이다. 엘리먼트 AI는 기관을 대상으로 새로운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연구 및 제공하는 응용 AI 연구기관이다. 노련한 사업가로서 그는 AI와 오퍼레이션 리서치 분야에서 2개의 회사를 설립하고 성공적으로 엑싯(Exit)했다.
플라노라의 CEO로서 그는 머신 러닝, 오퍼레이션 리서치 및 사용자 경험분야를 혁신적으로 결합하여 극도로 경쟁적인 워크포스 관리 환경에서 파괴적인 SaaS 솔루션을 시장에 출시하며 회사의 방향을 주도했다.
이후 그는 JDA 소프트웨어에서 CPO와 CIO로 역임하며 20대 기업 소프트웨어 회사의 최연소 글로벌 C-Level 임원이 되었고, 그곳에서 100개 이상의 제품과 전 세계 20개 이상의 회사의 1,400명의 개발자 포트폴리오를 관리했다.
박동주
에릭슨엘지 테크니컬디렉터
- 현재 에릭슨엘지 (Ericsson-LG)에서 공장, 자동차, 공공안전, 스마트 시티 등에 5G를 포함한 이동통신 적용 분야를 담당
- 1995년 LG전자 입사 이후 LTE/5G 시스템 알고리즘 개발 (2000 – 2015)
- 과기정통부 장관상 수상 -5G 상용화 실무 유공자 (2019)
- 현 5G 포럼 생태계 전략 위원장
- 고려대학교 전자 공학 박사 (1995)
도미니크 고레키
스위스SmartFactory CEO
도미니크 고레키는 스위스 혁신 파크 비엘/비엔느에서 인더스트리 4.0 연구 그룹을 이끌고 있으며 스위스 스마트 공장의 공동 설립자 겸 대표다. 스위스 스마트 팩토리는 스위스의 인더스트리 4.0을 위한 첫 번째 테스트 및 데모 플랫폼이다. 이전에는 독일 카이저슬라우테른에 있는 독일 인공지능 연구센터(DFKI)의 혁신공장 시스템 부서 연구 책임자였다. 동시에 SmartFactoryKL 리빙랩(living lab)을 담당하는 R & D 코디네이터이기도했다. 그는 세계 경제 포럼에 안건을 기고하며, 인더스트리 4.0 영역에 있는 여러 스타트업에 공동창업자이자 고문으로 있다.
아진키아 베이브
지멘스 디지털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 인도총괄
아진키아 베이브는 지멘스 엔지니어링 서비스의 인도 총괄대표로, 제어 시스템과 머신러닝, 다물리(multi-physics) 시뮬레이션, 계산 유체(computational fluid) 역학 분야에서 여러 팀을 이끌고 있다.
그는 카네기 멜론대학에서 석박사를 취득하였다. 시스템과 제어 분야에서 박사학위를, 로보틱스 및 ECE 분야에서 석사를 보유하고 있다. 지멘스에 합류하기 전에는 카네기 멜론대학의 연구 교수였으며, 인도의 IIIT 하이데라바드에 있는 로보틱스 연구 센터의 창립 멤버였다. 그는 또한 카네기 멜론의 자율 탐사선 팀의 일원으로 "Spaceward Bound 2006 Expedition : Chile"에 대한 NASA 그룹 공로상을 수상했다.
칼레 키이뢰
스마트비 COO&공동창업자
- 2018 ~ 현재 스마트비(Smartbi) 공동창업자 겸 COO
- 2017 SmartGov 공동창업자 (신흥시장의 디지털 플랫폼 개발 협력 회사)
- 컨설팅 및 디지털화 혁신분야 다수 담당
박한구
한국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단장
- 2019. 7 ~ 현재 : 한국 스마트제조 혁신추진단, 단장
- 2016. 5 ~ 2019.6 : 한국 인더스트리4.0 협회 회장
- 2018. 6 : 저서, “4차 산업혁명, 새로운 제조업의 시대”
- 2017. 3 ~ 2019.6 : 스마트 엠앤에프그룹 대표
- 2014. 3. ~ 2017.2 : POSCO ICT 스마트 팩토리 사업 실장
- 1995. 8. ~ 1997.5 : Stevens Institute of Tech. U.S.A, 컴퓨터 엔지니어링 석사
- 1982.12. ~ 2014.2 : POSCO, 상무
스테판 힐튼
웨스트 잉글랜드 시장 스마트 지역 자문
스테판 힐튼은 시티 글로벌 퓨쳐스(City Global Futures)의 창립자이자 이사이며, 시티 글로벌 퓨처스는 스마트 시티, 지속가능성 그리고 도시 미래의 긍정적인 비전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는 교차점에 초점을 맞춘 전략적 컨설팅 회사이다. 그는 영국 웨스트 잉글랜드 당국과 팀 보울스(Tom Bowles) 시장에게 전략적 지원과 기술 자문을 제공한다.
크레이그 스터스
아마존웹서비스 아시아태평양 AI머신러닝 헤드
크레이그 스터스는 AWS의 아시아태평양 AI 머신러닝 헤드(APJ Head of AI/ML) 이다. 그는 BFSI, 미디어 / 엔터테인먼트, 리테일, 제조 및 물류 분야의 초기 주요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태지역의 시장 개발 팀을 이끌고 있다. 23년간 분석 및 기계 학습 솔루션을 구축하고 제공해왔고, 아시아에서 20년을 살면서 많은 로컬 마켓들의 비즈니스 트랜스포메이션을 직접 실행한 경험이 있다. 그는 태국에 본사를 둔 스타트업인 아시아 제로를 창업하고 GM을 맡으며 미디어와 헬스케어 분야 고객들에게 predictive intelligence 소프트웨어를 서비스했다. 그는 이제 임원들에게 고객 인게이지먼트, 시장 확장 및 데이터 수익화를 위한 머신러닝 투자에 대한 자문을 제공한다.
더크 아흘러스
노르웨이과기대(NTNU) 교수
더크 아흘러스 박사는 노르웨이 과학기술대학(NTNU) 스마트 지속가능도시 그룹의 H2020 +CityxChange Smart City 프로젝트의 선임 연구원이자 프로젝트 매니저이다. 그는 정보 시스템 분야의 연구 과학자이자 노르웨이과기대 컴퓨터 사이언스 대학 데이터 및 정보 관리 학과의 ERCIM Marie Curie 박사후 연구원이었다.
한편 더크 아흘러스 박사는 독일 올덴부르크 대학에서 컴퓨터 사이언스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그의 연구 관심사는 Urban Intelligence, Smart Cities, Sustainability, Climate Neutral Cities, Open Innovation, Urban Systems Modeling, Geospatial Retrieval, Information Retrieval, Web Mining, Search Engines, Information Access, Mobile, and Everything Geo에 걸쳐 있다.
+CityxChange 는 유럽 청정 에너지 전환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도시 환경에서 긍정적인 에너지 구역을 개발하고 있으며, 유럽 7개 도시와 32개 파트너사들이 협력 중이다.